교재: Do it! 5일 만에 끝내는 깃&깃허브 입문
1장
깃으로 버전관리, 백업, 협업을 할 수 있다.
<깃프로그램의 종류>
- 깃허브 데스크톱: 복잡한 깃 사용법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한 것
- 토터스깃: 윈도우 탐색기의 빠른 메뉴에 추가되는 윈도우 전용 프로그램
- 소스트리:깃의 기보기능부터 고급기능까지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
-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(CLI):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만든 프로그램, 사용 어렵지만 익숙해지면 다양한 활용 가능
윈도우에 깃 설치후 실행
리눅스명령 연습하기
- 물결표시(~): 현재 위치가 홈 디렉터리라는 의미
- pwd(print working directory)명령: 현재위치 경로 나타냄
- Is 명령: 현재 디렉터리에 어떤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있는지 확인, 명령 옵션은 붙임표(-)로 표시
옵션 | 설명 |
-a | 숨긴 파일이나 디렉터리 함께 표시 |
-l |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상세정보 함께 표시 |
-r | 파일의 정렬순서 거꾸로 표시 |
-t | 파일 작성 시간순(내림차순) 표시 |
- clear 명령: 터미널 화면 깨끗하게 비움
- 터미널 창에서 디렉터리 이동
- 상위 디렉터리 이동: $ cd . .
- 하위 디렉터리 이동: $ cd 하위디렉터리이름
- 홈 디렉터리(처음) 이동: $ cd ~
- 리눅스에서 디렉터리 기호
기호 | 설명 |
~ | 현재 접속 중인 사용자 디렉터리('c/Users/사용자아이디5글자') |
. |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 |
.. | 현재 디렉터리의 상위 디렉터리 |
- $ mkdir 새디렉터리이름: 하위 디렉터리 만들기
- $ rm -r 디렉터리이름: 디렉터리 삭제
- $ exit : 터미널 종료
2장 깃으로 버전 관리하기
2-1 깃 저장소 만들기
$ mkdir hello-git -> git 만들기
$ cd hello-git -> 디렉터리로 이동
$git init -> 깃으로 사용하도록 초기화
2-2 버전 만들기
-작업트리 : 파일 수정, 저장 등의 작업 하는 디렉터리, 눈에 보임
.git 디렉터리
-스테이지 :버전으로 만들 파일 대기
-저장소 : 버전으로 만들어 저장하는 곳
1)작업트리에서 문서 수정
$ git status ->깃 상태 보여줌
2)수정파일 스테이지 올리기
$ git add hello.txt ->스테이징 명령
3)스테이징한 파일 커밋하기
$ git commit -m "message1"
$ git log -> 저장소에 저장된 버전 확인
+a)스테이징과 커밋 한번에 처리
$ git commit -am "message2"
2-3 커밋 내용 확인하기
$ git log
commit 블라블라ㅡㅡㅡㅡ -> 커밋해시, 깃해시
ㅡㅡㅡㅡㅡㅡㅡㅡ ->커밋로그
$ git diff -> 변경사항 확인하기
2-4 버전 만드는 단계마다 파일 상태 알아보기
$ git log --stat ->커밋과 관련된 파일까지 함께 살펴봄
$ git commit --amend -> 가장 최근 커밋 메세지 수정
02-5 작업 되돌리기
$ git restore hello.txt -> 작업트리에서 수정한 사항 취소
$ git restore --staged -> 스테이지에 있는 모든 파일 한번에 되돌림
$ git restore --staged 파일명 -> 해당 파일만 되돌림
$ git reset HEAD^ -> 최신 커밋 되돌리기(커밋과 스테이징 함께 취소)
$ git reset --hard 해시 -> 특정 커밋으로 되돌리기
$ git revert 해시 -> 커밋 변경 이력 취소하기
3장
3-1
브랜치
main브랜치: 기본 브랜치
분기(branch)한다 : 새브랜치에서 기존 파일 내용 수정 or 새로운 기능 추가
병합(merge)한다: 분기했던 브랜치를 main 브랜치에 합침
3-2브랜치 만들기 및 이동하기
실습상황만들기
$ git branch
$git branch apple
$git branch
apple
* main
+google브랜치와 ms 브랜치 만들기
$git branch google
$git branch ms
$git branch
apple
* main
ms
$git log #브랜치 확인
$git log --online #--online 옵션은 한 줄에 한 커밋씩 보여줘서 여러커밋 한눈에 확인 가능
브랜치 전환하기
$git switch apple
3-3브랜치 정보 확인하기
$git add . # git add 명령 뒤에 한칸 띄우고 (.) : 현재 저장소에서 수정내용 있는 파일을 스테이지에 한꺼번에 올릴 수 있다.
브랜치와 커밋관계 알아보기
$git log --onlines --branches #--branches옵션: 브랜치마다 최신 커밋 한눈에 살펴보기 가능
$git log --onlines --branches --graph #--graph옵션: 브랜치와 커밋관계 그래프 형태로 표시
브랜치 사이의 차이점
$git log a브랜치이름..b브랜치 이름 #(..)공백없이 입력, a에는 없고 b에는 있는 커밋 보여줌
3-4브랜치 병합하기
$ git switch main (메인브랜치 전환)
$ git merge o2 (o2브랜치를 메인브랜치로 끌어옴)
병합이 끝난 브랜치 삭제하기
$ git branch
$ git switch main
$ git branch -d o2
4장 깃허브 시작하기
4-1
- 원격 저장소(remote repository) : 지역저장소(local repository)가 아닌 컴퓨터나 서버에 만든 저장소
4-2
깃허브 가입하기
원격 저장소 만들기
4-3
지역저장소를 원격 저장소에 연결하기
4-4
지역저장소와 원격저장소 동기화하기
원격 저장소에 커밋 올리기& 파일 올리기(git push)
원격 저장소에서 커밋 내려받기(git pull)
4-5
깃허브에 SSH 원격 접속하기
SSH 원격 접속 : 프라이빗 키와 퍼블릭 키를 사용해 현재 사용하는 기기를 깃허브에 인증하는 방식
SSH 키 생성하기
깃허브에 퍼블릭 키 전송하기
SSH 주소로 원격 저장소 연결하기
+a) shift+insert => 붙여넣기
'Git&Git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&Github 5장~8장 (2) | 2025.03.30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