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Git&Github

Git&Github 5장~8장

5장 

깃허브로 협업하기

 

05-1 서로 다른 컴퓨터에서 원격 저장소 함께 사용하기

원격 저장소 복제하기 -git clone

  • 클론(Clone, 복제): 원격 저장소를 지역 저장소로 가져오는 것
  • git clone 원격 저장소 주소 .
    • 마침표(.) : 현재 디렉터리

 

집에 있는 컴퓨터로 작업하고 올리기

$git push: 커밋을 원격 저장소에 올림

-git commit -am -> 스테이징과 커밋 한꺼번에 가능

 

회사 컴퓨터에서 내려받아 작업하기

-하나의 원격 저장소에 지역 저장소가 2개 이상 연결 돼있을때, 지역 저장소에서 작업하려면 원격 저장소의 변경사항 먼저 가져와야 한다

$git pull : 원격 저장소에 최신 커밋 가져오기

 

05-2 원격 브랜치 정보 가져오기

커밋과 브랜치 이해하기

$git log 로 커밋 상태 확인

(HEAD-> main) -> 해당 커밋이 지역 저장소의 최종 커밋이라는 의미

(origin->main) -> 원격 저장소의 최종 커밋

 

원격main 브랜치

 

 

원격 브랜치 정보 가져오기 -git fetch

$git fetch ->원격 저장소의 정보를 가져오는 명령

$git merge -> 원격브랜치와 현재브랜치 합쳐 주는 명령

$git pull -> fetch와 merge 한꺼번에 처리

 

 

05-3 협업의 기본

-협업과 브랜치

분기: 코드를 분리하여 main 브랜치와 구분

협업 시 업무에 따라 서로 다른 브랜치를 만들어 추후 병합

 

(협업과정)

1. 협업을 위한 저장소 만들기

-'manuals' 라는 깃허브 저장소 만들기

저장소에 브랜치 만들기

-apple과 ms브랜치 

 

2. 공동 작업자 추가하기

 -> Add people 클릭후 이메일 주소 입력

-> Accept Invitation -> 초대 수락

3. 브랜치별 커밋/푸시 (원격 저장소에 브랜치를 만든 뒤 지역 저장소로 복제하여 풀/푸시 반복

4.풀 리퀘스트 요청: main 브랜치에 병합해달라고 요청

 

 

05-4 원격 저장소에서 협업하기

 

1. 협업을 위한 저장소 만들기 (깃허브에서 새 저장소 생성, README 파일 추가하여 main 브랜치 생성)

2. 공동 작업자 추가하기(이메일 주소로 등록, Settings -> Collaborators -> Add People)

3. 프로젝트 관리하기

4. 브랜치 만들기

5. 지역 저장소에서 작업하고 푸시하기

git clone 원격 저장소 주소 //깃허브복제, 원격저장소 연결
git switch 브랜치 이름  //새 브랜치를 만들면서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 연결 ->트래킹
git push //커밋 후 푸시 반복

 

원격 저장소 복제하기

$git clone -> 지역 저장소 만들고 원격 저장소 연결 후 최신커밋 내려받기

복제 후, 직접 커밋 만들고 깃헙 푸시 가능

커밋할 때 사용할 이름, 이메일 주소 설정하기

 

 

원격 저장소에 커밋 푸시하기

변경사항 없다는 뜻

 

6. 풀 리퀘스트 보내기 및 병합하기

 

6장 깃허브에서 다른 사람과 소통하기

 

06-1 깃허브 프로필 관리

https://github.com/아이디 -> 프로필 화면 

 

1. 프로필 작성하기

 

2. 컨트리뷰션

커밋 올리기, PR 등록 등 깃허브에서 하는 모든 활동

컨트리뷰션 그래프 -> 1년 활동 내역 확인가능

 

06-2 READ ME 파일 작성하며 마크다운 익히기

README파일 : 저장소를 소개하는 공간, 커밋하여 저장소에 저장 (마크다운 문법 사용, 확장자: .md)

 

README 파일 작성하기

 

저장소 만들때 'Add a README file' 체크

 

 

미리 만들어 놓은 저장소에 새로 README 파일 추가

+줄 바꾸려면 가운데 빈 줄 넣어야 함.

[Preview]클릭 시 미리보기 가능

 

마크다운 기본 문법 알아보기

  • 제목: 앞에 #을 붙인다/ #개수 늘어날수록 제목 글자 크기 한 단계씩 작아진다.
  • 가로줄 추가: -나 *를 3개 이상 입력
  • 텍스트 단락 줄 바꾸기: ENTER 두 번
  • 순서 목록 입력: 1,2... 처럼 번호 붙임/ 단, 줄 뛰우기, 숫자와 내용 사이 뛰어쓰기
  • 순서없는 목록: +, -, *붙여서 나열하면 글머리 기호 자동으로 붙음/ Tab 누름-단계 목록
  • 텍스트 꾸미기: 굵게(텍스트 앞뒤 **, __로 감쌈), 기울임체(*, _), 굵은 기울임체(***, ___), 취소선(~~~)

소스코드

백틱` 기호 사용: 텍스트 사이 소스 코드 삽입

 

링크삽입 : <주소>, [텍스트](주소), [텍스트](주소, "부가 설명")

 

README 수정하기 

$Show diff : 이전 파일과 비교하여 수정사항 확인

 

README 파일에 이미지 추가

  • ![데체 텍스트](이미지 파일 경로)
  • ![프로필 이미지](./house.png)

 

06-3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기

  • 한글 번역
  • 문서화 작업 도움 ex)VS Code 저장소 [Pull requests] 클릭
  • 소스 오류나 버그 수정

7장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로 다루는 깃과 깃허브

 

07-1 저장소 만들기

새 폴더 만들고 작업 폴더 추가하기

- 탐색기 : 새 파일 / 새 폴더 / 탐색기 새로 고침 / 탐색기에서 폴더 축소

 

저장소 초기화하기

-소스 제어 창 -> Initialize Repository

깃 설정하기 -> $git init

  • Ctrl+Shift+~ :터미널 창 열기
  • 사용자 설정

+a) 저장소 폴더(.git폴더) 표시하기

[file]->[preferences]->[settings]

 

07-2 버전 만들기

1. 소스 제어 창

  • 변경 사항 영역 : 파일 열기, 변경 내용 취소, 변경 내용 스테이징, 파일 상태
  • 파일 상태 U : Untracked - 한 번도 커밋하지 않은 파일
  • 수정 사항 개수 확인

2. 버전 만들기

  • 스테이징하기: 변경사항 옆 +아이콘 클릭/ 파일 상태 A: Added (인덱스 추가됨)
  • 커밋하기: 커밋 메세지 작성 후 Ctrl + Enter
  • 변경 내용 살펴보기: [변경 내용 열기]: 기존 파일과 수정한 파일 내용 비교 가능

07-3 깃허브에 연결하기

 

1. 원격 저장소 연결하기 

  • 소스 제어 창 → [원격] → [원격 추가…]
  • 입력창에 원격 저장소 주소와 이름 입력 후 Enter
  • $git remote -v: 원격 저장소 연결 확인

2. 원격저장소로 푸시하기

  • 소스 제어 창 → [풀, 푸시] → [다음으로 푸시…]
  • 푸시할 원격 저장소 선택

 

07-4 브랜치 관리하기

  1. 새로운 브랜치 만들기
    • [새 분기 만들기] ⇒ 새 브랜치로 자동 전환
  2. 새 브랜치에서 커밋하기
    • 소스 제어 창에서 커밋 메시지 작성 후 커밋
  3. 새 브랜치를 원격 저장소로 푸시하기
    • [풀, 푸시] → [다음으로 푸시…] → 원격 저장소 선택
  4. 브랜치 사이에 전환하기
    • 소스 제어 창에서 전환할 브랜치 선택
  5. 브랜치 병합하기
    • [분기] → [병합…] → 병합할 브랜치 선택
  6. 브랜치 삭제하기
    • [분기] → [분기 삭제]

 

새 브랜치에서 커밋하기

브랜치 사이 전환하기

 

새 브랜치를 원격 저장소로 푸시하기

소스제어창...클릭 ->[풀,푸시] ->[다음으로 푸시] ->원격저장소 선택

 

브랜치 병합하기

소스제어창...클릭 ->[분기] ->[분기병합] ->병합할 브랜치 선택

 

8장

08-1 HTML, CSS  파일로 이력서 사이트 만들기

1. 사용할 파일 준비하기

HTML: 사이트 내용

SCC: 사이트 디자인

첫 화면은 반드시 index.html 파일로 저장

 

2. 다른 사람의 저장소 복제

Fork: 소스 파일 다운 → 지역 저장소 생성 → 원격 저장소 생성 → 푸시 과정을 한번에

 

3. 지역저장소 복제하기(clone)

[Clone repository] -> 복제할 저장소 주소 입력 

 

 

4. 변경 사항 커밋하기

index.html 파일 수정하기

 

5. 원격저장소를 페이지로 전환하기

페이지(Pages)기능으로 현재 저장소를 페이지로 바꿔 사이트처럼 사용

[Pages] → [Branch] → 파일이 있는 브랜치 선택

페이지 주소 생성: https://아이디.github.io/저장소명

 

 

08-2 깃허브에 블로그 만들기

1. 지킬 테마로 블로그 만들기

지킬 테마: 깃허브 페이지에서 블로그나 사이트를 만들 때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

 

지킬테마 선택하기: Fork해서 사용, 코드로 내려받아 사용

 

 

블로그 만들기 위해 저장소 이름을 계정.github.io로 설정

 

 

2. 블로그에 포스트 작성하기

_posts 디렉터리 -> yyy-mm-dd-파일이름.md 파일 사용

마크다운 문법으로 작성

모든 포스트에 꼭 들어가야하는 내용

- - -
layout: post
title: (포스트 제목)
- - -

 

3. 블로그 포스터에 이미지 넣기

저장소 자체 or 특정 디렉터리(eg. images)에 이미지 파일 업로드

포스트 파일에서 이미지 파일 지정: ![대체 텍스트](/images/파일 이름)

 

'Git&Git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Git&Github 1장~4장  (1) 2025.03.22